’10월 기준금리 인하’ 당장 유효…’11월~내년 연기’도 상향

한국은행의 만장일치 동결 행진에 전문가들은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말한다. 주택 가격과 가계부채에 대한 강조가 거듭되면서 “11월부터 내년까지” 금리 인하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금융통화위원회(MPC) 회의에서 수도권 주택 가격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여전히 ​​10월 금리 인하설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금리 인하 시점이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11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3일 금융통화위원회는 전날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한 금융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기존 문구인 “앞으로도 충분히 긴축 기조를 유지하겠습니다”에서 “충분히”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같은 날 통화정책 방향 브리핑에서 물가와 경제 등 거시경제 환경이 금리 인하 조건을 충족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물가 수준만 놓고 보면 인하 조건이 좋지 않다”며 “금융통화위원회가 ‘충분히’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이 총재가 금리 인하 조건을 비교적 자세히 언급한 것은 향후 기준금리 인하로의 이동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 총재를 제외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이내 금리 인하는 열어두는 게 좋다는 의견을 밝혔고, 3개월 후에도 현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2명에 불과했다.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대부분이 3개월 이내 금리 인하 카드를 내민 것은 한국은행이 10~11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과 직결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 전문가들은 다음 금융통화위원회(10월 11일)에서 확정될 가계부채 증가가 연간 성장률 전망치 등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한국은행이 10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연구원은 “금융안정을 강조했지만 세부 내용은 원칙적”이라며 “일정 수준”이라며 “5~7월에는 차선 변경 방향 지시등이었다면 지금은 핸들을 돌릴 시점”이라고 말했다. 아이엠증권 김명실 연구원은 “부동산,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에 초점을 맞췄지만, 물가와 경기 등을 고려하면 금리 인하 여건이 갖춰지고 있다는 언급도 나오면서 이전에 비해 통화완화에 찬성하는 의견이 우세했다”며 “소수 의견보다는 포워드 가이던스에 집중하고 10월 금리 인하가 타당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 뉴스1 양혜림 디자이너와 신한투자증권 안재균 연구원은 “7월까지 하락세를 보이던 은행 대출금리가 정부 주도로 8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했고, 수도권 추가 금리 인상을 중심으로 9월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시행될 것”이라며 “9~10월 가계대출이 4월 이후 월평균 증가액인 5.5조원에 못 미칠 경우 10월에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에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도 이런 기대감을 뒷받침한다. Fed의 금리 인하가 실행에 옮겨진다면 19개월 동안 2%포인트에 머물렀던 한미 금리 격차가 드디어 좁혀질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좁아지는 모습이 시장에 반영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320~1,330원대까지 하락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외환 변동성 축소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 뉴스1 디자이너 윤주희 반면, 일각에서는 11월 금리 인하 전망으로 선회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번에도 금리를 동결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고, 이 총재가 금융 불안에 대한 우려를 거듭 강조했다는 점을 들어 10월 금리 인하 전망은 11월로 연기했습니다. 하나증권 김상훈 연구원은 “스트레스 DSR 시행의 실제 집행 시점을 고려하면 10월에 확정된 9월 가계대출 지수가 정부 정책에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11월 금리 인하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재민 현대차증권 연구원도 “연내 1회 인하 기대는 타당하지만 정부 정책의 시차와 인하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보수적인 시점을 선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인하 시점이 10월보다는 11월로 다소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10월 인하 예측을 유지하고 있지만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의 실질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워 11월에는 상당히 연기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기준금리 인하가 ‘내년’으로 연기될 가능성까지 열어두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11월 인하 전망은 유지하되, 추가 연기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며 “한국은행이 부동산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10월 금융통화위원회까지 1~2개월 정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 가격 지표로는 인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혜지 기자([email protected]) 원문기사 https://www.news1.kr/economy/trend/5518806 ’10월 기준금리 인하’ 당장은 유효…’11월에서 내년으로 연기’도 목소리 높여 사설종합통신, 팩트 앞에 겸허 www.news1.kr